본문 바로가기

슬기로운 티월드생활

SK텔레콤 고객 언어 모음집 1

SK텔레콤 통신 정음을 소개합니다.

그동안 SK텔레콤은 낯설고 어려운 한자어나 외래어, 전문용어 등 일명 '통신 외계어'라고 불리는 말들을 고객님이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말로 바꿔왔습니다. <통신 정음>은 매장에서 자주 쓰는 어려운 표현들을 개선한 언어 모음집입니다.

매일 고객님을 직접 마주하는 매장에서 같은 눈높이로 소통할 수 있도록 <통신정음>이 찾아가겠습니다.

 

통신 정음 4원칙

(통) 고객과 할 수 있는 쉬운 말

- 한자어나 외래어, 어려운 전문 용어 대신 일상에서 사용하는 쉬운 우리말을 사용합니다.

(신) 고객이 뢰할 수 있는 옳은 말

- 성별, 장애, 인종 등 특정 집단에 대해 차별적이거나 편파적인 표현을 쓰지 않습니다.

(정) 고객에게 말 필요한 실용적인 말

- 우리의 상품/서비스가 고객 입장에서 사용할 때 어떤 점이 좋은지 안내합니다.

(음) 고객의 물에 맞는 직관적인 말

- 고객의 질문에 맞게 답하고, 목적에 맞는 정확한 단어로 명확하게 말합니다.

 

1. 커버리지 → 서비스 이용 가능 지역

커버리지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하는 전문 용어입니다.  

2. 망내 회선 → SK 텔레콤을 이용하는 번호

망내회선은 통신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문 용어입니다.

3. 단말(기) → 휴대폰/기기

단말은 전문용어로 어떤 고객에게는 어려운 단어일 수 있습니다.

'휴대폰'처럼 쉬운 단어로 쓰세요. 스마트워치, 태블릿 pc처럼 휴대폰이 아닌 기기는 각각의 명칭으로 안내해 주세요.

4. 공기계 → 안 쓰는 휴대폰

공기계는 고객에 따라 익숙하지 않은 한자어 일 수 있습니다. '쓰지 않는 휴대폰' 또는 '안 쓰는 휴대폰'으로 풀어 사용.

5. 선택약정 → 통신요금 25% 할인

선택 약정은 통신사 내부 용어입니다. 누구나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'통신요금 25% 할인'이라는 표현으로 설명.

6. 공시 지원금 → 휴대폰 가격 할인금

공시 지원금은 통신사 내부 용어입니다. 고객 입장에서 뜻을 풀어쓴 '휴대폰 가격 할인금'이라는 표현 추천.

7. 속도제어 → 최대~속도로 계속 사용

제어란 '상대방을 마음대로 다루다'라는 뜻으로, 부정적 의미를 담고 있는 표현. 

'어떤 속도로 계속 사용할 수 있다.'는 긍정적인 표현 사용.

8. OMD 단말 → 자급제 휴대폰

고객이 통신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구매한 기기를 뜻하는 OMD 단말은 '자급제 휴대폰'으로 바꿔 사용.

9. 기변 → 기기변경

기변은 기기변경의 줄임말. 

10. PPS 요금제 → 선불 휴대폰 요금제

사용할 만큼 미리 돈을 내는 요금제이므로, 선불 휴대폰 요금제로 사용.

11. USIM 개통 → 기기 없이 유심만 개통

유심(USIM) 개통이라는 표현만으로는 기기가 없어도 개통 가능하다의 뜻임.

12. 모회선 → 대표번호

모회선은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에게는 어렵게 느껴지는 표현. 대신 대표번호라는 표현 사용.

13. 자회선 → 연결된 번호

14. 교반품 → 교환 또는 반품

교반품은 '교환 및 반품 업무' 두 가지를 합친 업무 용어.

15. 상한계열 → 한도가 있는 요금제

상한 계열이란 표현만으로는 데이터에 한도가 있다는 의미를 전달하기 어려움.

16. 전산휴무일 → 영업일이 아님

매장이 영업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. 

17. 종속회선 → 추가 번호

18. m-VoIP → 모바일 인터넷 전화

m-VoIP는 모바일 데이터 혹은 wifi를 사용해서 무료로 전화하는 방식을 뜻함.

19. T+B결합 → SK텔레콤 유무선 결합

20. 2nd Device → 스마트 기기

'스마트워치' 혹은 '태블릿 PC'라는 각각의 명칭 사용.

 

반응형